<p></p><br /><br />태풍 '솔릭'이 한반도에 큰 상흔을 남기지 않고 지나갔습니다. 태풍 피해가 크지 않은 건 다행인 일이지만, 하루종일 기상청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고 있습니다. "짚을 건 짚자"는 분위긴데요, 어떤 얘기인지, 오늘도 문화과학부 김종석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1]비난이 나오는 이유가 뭡니까? <br> <br>조금 전 리포트에서 보셨듯이, 오늘 전국의 학교와 유치원 8600여 곳이 휴업을 했습니다. 태풍이 인구 2400만 명이 밀집해 있는 서울 수도권을 강타한다는 예보에 전국이 초긴장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오늘 서울과 수도권에 내린 비의 양은 10mm 안팎이었습니다. 서울에서는 태풍이 지나갔는지를 체감하기 힘들 정도였는데요. 기상청의 예측이 빗나가면서 인터넷 등에선 기상청을 비판하는 여론이 하루종일 들끓었습니다. <br> <br>태풍 '솔릭'이 한반도 내륙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은 것에 대해 기상청은 해발 1950m의 한라산이 '방패막' 역할을 하면서 태풍의 위력이 줄어들었다. 이렇게 설명했습니다. <br><br>[질문2]그런데, 한반도를 지나치는 태풍의 경로를 일본 기상청이 우리보다 더 정확하게 맞췄다는 평가도 있는데요. <br>기상청은 뭐라고 해명하고 있습니까? <br><br>"수도권을 관통할 것"이라는 우리 기상청과는 달리, 일본 기상청은 어제 새벽부터 "한국의 수도권을 지나가지 않는다. 목포로 지나간다", 이렇게 예측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화면에 보시면 나와있죠. 실제 경로와 일본이 가장 근접합니다. 우리와 미국은 조금 차이가 있고요. <br>우리 기상청은 일본 기상청 발표 이후 2시간 정도 지나 태풍의 경로를 군산에서 영광으로, 다시 부안으로 계속 수정했습니다. <br> <br>태풍의 범위가 워낙 크기 때문에 이런 차이는 예보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오차라고 볼 수도 있겠죠. <br> <br>기상청은 이렇게 말했습니다. "한국 미국 일본 모두 같은 데이터를 놓고 분석하지만, 같은 데이터를 봐도 해석과 전망이 조금씩 다를 수 있다." 태풍의 움직임을 놓치거나 잘 못 본 게 아니라 해석의 문제라는 겁니다. 어느 나라의 기상청이든 오보의 위험은 당연히 존재합니다. 그래서 예보관을 정답 없는 정답지에 정답을 쓰려고 하는 직업이라고도 합니다. <br><br>[질문3]저도 인터넷 비난글들을 봤는데, '기상청이 후폭풍을 모면하기 위해 극단적인 예보를 한 것' 아니냐는 글들이 많더라고요. 기상청은 뭐라고 합니까? <br><br>앵커 질문에 대해 제가 직접 오늘 오전에 기상청 유희동 예보국장에게 물어봤습니다. 들어보시죠. <br><br>[유희동] <br>보수적으로 해도 문제가 되고 보수적이지 않게 해도 예보가 잘못됐다고 그러면 그 비난은 어느 부분에서도 다 받아야 되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예보를 낼 뿐입니다. <br> <br>정치적 판단을 한 예보가 절대 아니라는 거겠죠. <br>"큰 피해가 예상된다"는 기상청의 발표 때문에 정부 당국이 선제적으로 대응한 결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던 건 맞습니다. 이유 있는 호들갑이었던 것이죠. <br> <br>하지만 예보가 잘못됐을 때 치러야 하는 사회적 비용도 큰 만큼 예보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더 노력해 달라는 시민들의 목소리도 귀기울여야 할 것 같습니다.